ABLESTACK은 다양한 방법으로 로드밸런서를 가상 네트워크에 운영하는 방법을 제공합니다.
다음과 같습니다.
- Isolated Network에서의 LB 운영
- 네트워크를 Isolated Network로 생성하면, vRouter가 만들어지고, 해당 라우터는 외부 접속 IP를 갖게 되고, 내부에는 내부 가상머신만 접속 가능한 별도의 사설 IP 대역이 할당됩니다.
- 해당 네트워크에서는 외부 접속 부하를 분산하는 내장된 LB를 배포할 수 있습니다.
- 예를 들면 LB vIP는 10.10.32.101이 할당되고, Web Server는 각각 192.168.1.11, 12가 할당되는 형식입니다.
- 해당 LB는 IP LB입니다. TCP/UDP 레벨에서 로드밸런싱 하는 것이기 때문에 https 환경은 각 웹 서버에서 자체적으로 구성해야 합니다.
- VPC Network에서의 LB 운영
- VPC는 큰 사이즈의 CIDR 네트워크를 생성한 후, 다수의 서브넷을 생성하기 위한 목적의 네트워크 입니다.
- 예를 들어 DMZ 영역, 그리고 내부 영역, DB영역, 백업 영역 등의 네트워크를 별도로 구성할 때 사용합니다.
- VPC를 만들면 VPC Router가 생성되고, 해당 라우터와 함께 외부 접속용 LB를 생성할 수 있게 됩니다. 외부 접속용 LB(External LB)를 생성할 수 있는 서브넷은 일종의 DMZ 구간이 됩니다.
- 만약 WAS, DB 등을 따로 분리해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해당 서브넷은 내부 LB (Internal LB)를 사용할 수 있도록 서브넷을 생성해서 네트워크를 운영할 수 있습니다.
- Isolated Network의 LB와 마찬가지로 VPC LB도 IP LB입니다. https 구성은 웹 서버 레벨에서 구현해야 합니다.
- ABLESTACK Link를 이용한 유연한 로드밸런싱 환경 구성
- ABLESTACK Link (Enterprise 한정)의 경우 보다 유연한 로드밸런싱 어플라이언스를 제공합니다.
- 사설 네트워크 환경에서도 자유롭고 유연하게 부하분산 환경을 구성할 수 있고, 별도의 웹 관리 UI를 통해 다양한 정책, Health Check Rule 등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 https 및 다양한 프로토콜에 대응할 수 있고, 설정할 수 있습니다.
위에서 설명한 여러가지 방법으로 로드밸런싱을 할 수 있으며, 구현할 아키텍처 등에 따라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