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jo 기존 구성된 인프라에 확장이 필요한데 하드웨어 스펙이 상이한 경우 기존 클러스터에 추가가 가능한지 문의 드립니다 하드웨어 벤더가 다른경우 CPU 세대가 다른경우 CPU 세대는 같으나 코어 수 혹은 기본 주파수가 다른경우 Memory 용량이 다른경우 HCI 구성일 경우에 디스크의 수량 혹은 단위 용량이 다른 경우 상기 구성 처럼이 스펙이 다른 경우에 단일 클러스터로 추가하여 구성이 가능한지 여부와 제약사항이 있는지가 궁금합니다
pdh1974 이기종 클러스터 구성 관련하여 답변 및 권장 사항 안내합니다. 우선 호환이라는 의미는 클러스터를 구성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호스트 간 가상머신 라이브 마이그레이션이 가능하다는 의미입니다. (VMWare EVC와 유사) 하드웨어 벤더는 클러스터 구성에 아무 관련이 없습니다. 하드웨어 자체에 이상이 없다면 하드웨어 제조사가 다른 것으로 인해 발생하는 이슈는 없습니다. CPU는 세대가 서로 다르다면 하위호환 됩니다. 호환 방법은 CPU가 포함하고 있는 기능의 교집합으로 호환합니다. 따라서 이 때 각 CPU가 포함하고 있는 기능의 교집합이 각 CPU 보다 하위 기종이 되는 경우 해당 CPU로 에뮬레이팅 해서 호환하게 됩니다. 이 때 CPU 연산 성능이 떨어지는 것이 아니고, CPU가 지원하는 기능 중 일부가 작동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만약 애플리케이션이 인공지능 관련인 경우 최신의 CPU 기능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클러스터를 이기종 CPU로 구성하는 것은 권장하지 않습니다. CPU 세대는 같으나 코어 수 혹은 기본 주파수가 다른 경우 CPU는 세대가 중요하거나 코어수, 주파수가 중요한 것이 아닙니다. CPU가 지원하는 Feature(기능)이 중요합니다. 리눅스의 경우 lscpu 명령으로 CPU가 지원하는 기능 목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메모리 용량이 다른 경우 메모리는 클러스터 구성 및 라이브 마이그레이션과 관계 없는 사양합니다. HCI 구성일 경우에 디스크의 수량 혹은 단위 용량이 다른 경우 디스크 수량/용량이 달라도 클러스터로 구성하고 스토리지 구성이 가능합니다. 단, 이러한 구성을 권장하지는 않습니다. 이런 구성의 유연성을 두는 이유는 제품의 단종 등으로 인한 부득이한 구성 변경의 필요성을 대응하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디스크의 수량과 용량을 근사치로 맞추는 것이 좋습니다. 질문에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