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hslove 1. 현재 MariaDB의 replication 백업 설정 테스트 진행중 문의사항 외부 NAS 없이 로컬디스크에 공유 디렉토리를 만들어서 주기적인 백업 진행 가능 여부 가능하다면 기본 스토리지에서 공유파일시스템 생성 후 DB 백업 폴더 생성 후 사용 가능 여부 만약 다른 대안이 있다면 전달 확인 요청 2. 일반적인 DB 백업 및 스토리지 사용 가이드 요청
pdh1974 질문의 내용으로만 판단해서는 정확히 백업을 어떻게 하겠다는 것인지 명확하지 않아, 정확한 답변이 될지 잘 모르겠지만 질문의 맥락으로 의도/아키텍처를 판단해서 답변 드립니다. 처음 질문한 내용 : 예상 시나리오는 DB에 대한 백업본을 가상머신 내에 공유 디렉토리를 만들어서 해당 디렉토리에 백업할 수 있는지에 대한 내용으로 이해 합니다. ABLESTACK Mold에는 별도의 공유파일시스템을 만들 수 있는 기능이 내장되어 있습니다. [공유파일시스템 가이드 - ABLESTACK Docs] 해당 파일시스템 생성 후 가상머신에 마운트하여 해당 디렉토리에 데이터베이스 데이터를 백업하면 됩니다. 질문은 외부 NAS가 없는 상태를 질문했으므로 위의 답변이 적절해 보입니다. 만약 호스트의 로컬디스크를 이용한다는 의미라면 **"권장하지 않습"**니다. (해당 로컬디스크는 호스트가 다양한 가상화 데이터 및 로그 저장을 위해 사용하는 영역으로 그 외의 데이터가 저장되어 발생하는 오류에 대해서 제조사는 책임질 수 없습니다) 일반적인 DB 백업 및 스토리지 사용 가이드 요청 DB 백업은 가상화 시스템이 제공하는 스냅샷을 이용한 백업(일반적으로 에이전트리스 백업이라고 부름)을 사용하는 것을 권장하지 않습니다. 스냅샷은 디스크 블록 단위로 데이터를 저장합니다. 따라서 DB를 중단하지 않고 스냅샷을 찍으면, 마치 전원이 갑자기 꺼진 상태에서 복구하는 것과 유사한 상태로 백업이 이루어집니다. redo log/undo log가 있어 복구는 가능하더라도 트랜잭션 유실이나 손상 위험이 존재합니다. ABLESTACK 가상화 환경에서 가장 안전한 DB 백업 방법은 다음의 방식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mysqldump : 데이터의 일관성 확보는 확실하지만, 대용량 시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가 있습니다. mariadb-backup(구, mariabackup) : 핫백업이 가능하고, 트랜잭션 일관성을 보장하며, 복원 속도가 빠릅니다. 제안한 방식을 VM/스토리지 계층과 무관하게 DB 자체적으로 무결성을 보장하기 때문에 가상 권장하는 방식입니다.